본문 바로가기
경제

고통지수 - 살기힘들다..경제 지표로 알아보는 국민의 경제 어려움

by 노다지 패시브 인컴 2023. 8. 29.
반응형

고통지수, 고통지수 계산법
Anna Shvets님의 사진: https://www.pexels.com/ko-kr/photo/4226215/

생활 속에서 느끼는 경제적인 어려움은 주관적인 경험으로서, 이를 양적으로 측정하기는 어려운 일입니다. 그런데 경제학자 아서 오쿤이 개발한 고통지수라는 개념은 이러한 주관적인 어려움을 수치로 나타내는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고통지수 계산 방법

고통지수는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합한 값에서 소득증가율을 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또는 "국내총생산량 - GDP"를 빼기도 함) 물가상승률이 올라가고 실업률이 높아질수록, 우리는 경제적인 압박을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지표는 국민들의 경제적 체감도를 고려하여 만들어진 것으로서, 개인과 국가의 경제적 상황을 평가하는데 활용됩니다.

 

오쿤이 이 개념을 처음 도입할 때, 그는 기상학에서 사용되는 불쾌지수를 영감으로 삼았습니다. 마치 불쾌지수가 날씨 요소들을 고려하여 불편함을 나타내듯이, 고통지수는 인플레이션율, 실업률, 국민소득증가율 등을 고려하여 경제적인 어려움을 나타냅니다. 이것은 오쿤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경제학의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 지표는 각 국가의 경제적인 어려움을 비교하기 위해 활용됩니다. 수치가 높다면 그 국가의 국민들은 더 큰 어려움을 겪는 것이며, 낮다면 상대적으로 경제적인 안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 물가와 실업률 뿐만 아니라 어음부도율과 산업생산증가율을 고려하여 한 지역의 경제 고통도 계산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통지수도 한계가 있습니다. 각 나라마다 지표를 계산하는 방식이 다르며, 이러한 지표만으로는 경제 현상을 완벽하게 설명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지표는 상대적인 경제 어려움을 비교하는 데 유용하며, 경제 현실을 보다 깊게 이해하고 정책 결정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경제분석 #경제지표 #경제적어려움

#고통지수 #물가상승률 #실업률

 

 

↓↓↓↓↓ 더 많은 정보와 지식 확장을 위해 "레버리지 효과/지렛대 효과" 관련한 글은 아래 링크를 눌러 확인해주세요! ↓↓↓↓↓https://nodaji-passive-income.tistory.com/entry/%EB%98%91%EB%98%91%ED%95%98%EA%B2%8C-%EB%8F%88-%EB%B2%84%EB%8A%94-%EB%B0%A9%EB%B2%95-%EB%A0%88%EB%B2%84%EB%A6%AC%EC%A7%80-%ED%9A%A8%EA%B3%BC-%EC%A7%80%EB%A0%9B%EB%8C%80-%ED%9A%A8%EA%B3%BC

 

똑똑하게 돈 버는 방법! 레버리지 효과 = 지렛대 효과

타인 자본을 활용하는 레버리지 효과, 그 매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레버리지 효과는 경제에서 '지렛대 효과'로도 불립니다. 이는 기업이 타인으로부터 차입금 등의 자본을 빌려와 자기자본

nodaji-passive-incom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