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국내 빼곤 나이키 잘 안 팔린다?

by 노다지 패시브 인컴 2023. 10. 20.
반응형

나이키는 우리나라에서만 잘 팔린다?
Ray Piedra님의 사진: https://www.pexels.com/ko-kr/photo/1456706/

요즘 스포츠 의류 업계에서는 중요한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나이키(Nike) 및 어반아웃피터스(Urban Outfitters)와 같은 대표적인 스포츠 의류 소매업체들에 대한 월가의 목표주가가 조정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중국의 소비 부진과 미국 가계 소비의 둔화로 인해 실적이 예상보다 나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입니다.

 

미국 경제전문매체 CNBC 및 배런스에 따르면 제프리스(Jefferies)는 나이키의 투자 등급을 매수에서 보류로 낮추고, 목표주가를 140달러에서 100달러로 크게 하향 조정했습니다. 현재 나이키 주가가 90.6달러 정도인데, 이것은 아직 상승 여력이 10% 정도밖에 되지 않는 수준입니다.

 

중국시장으로 인한 영향

제프리스의 애널리스트 랜달 코닉은 판매 채널에서의 압박이 지속될 가능성과 중국의 성장 둔화로 인한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3회계연도 4분기에 기준한 나이키의 중국 매출은 약 18억1000만달러로 전체 매출의 14.1%를 차지하고 있는데, 중국 내 소비가 침체되면 나이키에 큰 타격이 예상됩니다.

 

또한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소비 심리가 저하되고, 다음 달부터 시작되는 미국의 학자금 대출 상환도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제프리스는 자사의 소비자 설문 조사 결과를 인용하여 학자금 대출 상환으로 인해 미국 내 의류 및 신발 소비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특히 응답자의 39%는 의류와 액세서리 부문에서, 35%는 신발 부문에서 더 저렴한 대안을 찾을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나이키의 주가가 최근 큰 폭으로 하락하여 연중 최저치를 기록한 가운데, 관련된 공급 업체 및 유통업체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어반아웃피터스와 풋라커(Foot Locker)의 투자 등급 및 목표주가도 조정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스포츠 의류 시장에서의 변화와 경기 둔화로 인해 주가가 하락하는 추세를 반영한 것입니다.

 

이와 함께 나이키는 재고 자산 증가로 인한 위험 요소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나이키의 2023회계연도 4분기 재고 자산은 84억달러로, 지난 4년간의 평균 재고 자산(70억달러)을 상회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관리 비용이 증가하고 할인 판매로 인한 수익성 감소 등으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나이키의 현금성 자산도 전년에 비해 85억달러에서 74억달러로 감소하였습니다.

 

최근 몇 달 동안의 나이키 주가 하락세와 함께, 어반아웃피터스와 풋라커도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투자 등급 및 목표주가가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스포츠 의류 시장에서의 변화와 경기 둔화로 인해 주가가 하락하는 추세를 반영한 것입니다.

 

종합하자면, 스포츠 의류 업계는 현재 큰 변화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주시하고 있어야 합니다. 중국의 소비 부진과 미국 내 가계 소비의 둔화로 인해 나이키와 관련된 기업들의 실적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장애아동 수당 - 장애 아동을 지원하는 정책

한국 정부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있는 장애 아동과 그 가족을 돕기 위해 장애아동수당이라는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정책은 보호자의 경제 상황과 장애 아동의 장애 정도를

nodaji-passive-incom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