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국민은행은 삼성주식을 사면 안된다? 금산분리 정책의 중요성과 논란

by 노다지 패시브 인컴 2023. 9. 8.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금산분리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금산분리란 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이 서로 다른 업종을 소유하거나 지배하는 것을 금지하는 원칙입니다.

금산분리, 은행과 기업
Yurii Hlei님의 사진: https://www.pexels.com/ko-kr/photo/1398431/

금산분리 원칙

금산분리 원칙은 주로 은행업을 대표하는 금융자본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산업자본이 서로의 업종을 소유하거나 지배하는 것을 금지하는 원칙을 나타냅니다. 이 정책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시행됩니다.

 

1. 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의 결합에 따른 문제

먼저, 산업자본이 금융자본을 소유할 경우, 부실한 계열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이 계속되어 금융회사와 함께 부실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로 인해 파급 효과가 다른 금융회사 뿐만 아니라 제조업과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이해 상충 문제

둘째, 산업자본 계열의 금융회사가 계열기업을 위한 자산을 운용하면서 주주, 고객, 지배대주주 간의 이해 상충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정보 독점

셋째, 금융회사는 다양한 기업과 관계를 맺으며 해당 기업의 정보를 보유합니다. 그런데 기업이 금융회사를 소유할 경우, 정보 독점을 통해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4. 공정한 경쟁 저해

넷째, 금산분리를 하지 않을 경우, 기업집단의 계열은행이 경쟁사보다 우월한 대출 조건을 제공하거나 대출 심사 기준을 완화시켜 계열기업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공정한 경쟁이 방해될 수 있습니다.

 

금산분리의 논쟁

그러나 금산분리 반대론자들은 이런 정책이 금융과 산업의 결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막고 은행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킨다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합니다. 금산분리는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과 공정한 경쟁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과 함께 논란도 존재하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금산분리 #금융자본 #산업자본 #금융정책 #금융시스템

 

 

 

↓↓↓↓↓ 더 많은 정보와 지식 확장을 위해 "

고용률이란

" 관련한 글은 아래 링크를 눌러 확인해주세요! ↓↓↓↓↓

https://nodaji-passive-income.tistory.com/entry/%EA%B3%A0%EC%9A%A9%EB%A5%A0%EC%9D%B4%EB%9E%80-%EC%88%AB%EC%9E%90-%EB%84%88%EB%A8%B8%EC%9D%98-%EB%85%B8%EB%8F%99-%EC%8B%9C%EC%9E%A5-%EB%8B%A4%EC%9D%B4%EB%82%98%EB%AF%B9%EC%8A%A4

 

고용률이란 : 숫자 너머의 노동 시장 다이나믹스

경제 지표 중에서도 고용률은 국가의 노동 시장 건강 상태를 알아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 숫자보다 더 의미 있는 것은 고용 생성 능력을 반영하는데, 고용률이라고 하는 이 지표는 단순한

nodaji-passive-income.tistory.com

 

반응형

댓글